지난해 10월 개성공단기업협회가 헌법재판소 앞에서 '개성공단 전면중단 조치에 대한 위헌 확인'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개성공단기업협회)개성공단기업협회 비상대책위원회가 북한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에 “억장이 무너진다”며 우려와 유감을 표했다. 개성공단기업협회 비대위는 17일 입장문을 통해 “남북 양정부의 약속을 믿고 개성공단에 입주했고, 재개 희망을 놓지 않았던 우리 기업인들에게 현 사태의 전개는 억장을 무너지게 한다”며, “남북 양 정부는 정상회담 등 대화를 통한 사태해결을 위해 노력해 주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밝혔다. 협회에 따르면 개성공단 입주 기업 120여 곳이 2016년 개성에서 철수할 당시 남겨두고 왔다고 정부에 신고한 자산만 9천억원 정도다. 협회 비대위는 북측에 “공단 재개를 영구히 막는 더 이상의 조치를 자제할 것을 촉구한다”고 전했으며, 정부에는 “사태의 발단은 대북 삐라 살포지만 그 배경은 4.27, 9.19 정상 간 합의를 이행하지 못한데서 발생했다. 공동선언의 이행과 개성공단, 금강산관광, 철도도로 연결사업의 조속한 추진과 개성공단 재개에 대한 정부의 의지 표명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에는 “한미워킹그룹을 통해 남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17일 통일부 출입기자단 기자실을 방문해 "남북관계 악화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나기로 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 4월 28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참석한 김 장관. (사진=김상림 기자)[경제타임스=이종혁 기자] 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최근 악화일로를 걷는 남북관계에 대해 책임을 지겠다며 장관직 사의를 표명했다. 김 장관은 17일 오후 예고 없이 통일부 출입기자단 기자실을 방문해 “저는 남북관계의 악화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바라는 많은 국민들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며 “남북관계의 악화와 관련해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오늘 아침 대통령께 사퇴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 그는 “분위기를 쇄신할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서”라고 덧붙였다. 최근 북한은 대북전단을 계기로 연일 공세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지난 16일에는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폭발시켰고,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은 문재인 대통령의 6.15 공동선언 연설에 대해 “역스럽다”고 하는 등 공세를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