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정착한 지 3년 만에 다시 북한으로 월북한 김씨의 월북 행적이 군 감시장비에 포착됐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한국에 정착한 지 3년 만에 다시 북한으로 월북한 김씨의 월북 행적이 군 감시장비에 포착됐다. 31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인천 강화도 월미곳에서 발생한 탈북민 월북 사건에 대한 검열 결과에 따라 해병대 사령관과 수도군단장을 염중 경고하고, 해병 2사단장을 보직 해임하는 등 관련자를 징계위에 회부 할 방침이다. 합참은 북한 보도를 통해 지난 26일 월북 사실을 인지한 후 28일까지 검열 점검을 한 결과 ▲수문 등 취약요인 보완대책 ▲경계 및 감시 요원에 의한 적극적 현장조치 ▲열상감시장비(TOD) 등 감시장비 최적화 및 정상가동상태 확인 등에 대한 문제점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월북자 김모씨는 지난 18일 새벽 2시 46분쯤 연미정 인근 배수로를 통과한 뒤 소초 인근에서 입수했다. 배수로 탈출에는 12분밖에 걸리지 않았다고 한다. 김씨는 이날 새벽 4시 북한 지역으로 2~3㎞가량을 수영해 이동했다. 이 과정은 근거리·중거리 카메라와 TOD에 찍힌 것으로 알려졌다. 합참은 김씨가 연미정 소초 인근에서 한강에 입수한 후 북한 땅에 도착하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28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정문수 기자)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탈북민 김모(24)씨의 월북에 대해 사과했다. 합동참모본부는 김씨가 인천 강화도 월미곳 연미정 인근 배수로를 통해서 월북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정경두 장관은 28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백번 지적받아도 할 말이 없다"며, "모든 부분의 무한 책임을 국방 장관이 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려하는 바처럼 우리의 경계작전 태세가 그렇게 취약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많이 가동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며, "국민들께선 신뢰를 안 하겠지만, 각종 시스템과 장비들이 굉장히 많이 보완돼 있고, 실제로 그런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월북 루트로 추정되는 배수로 철제 침투 저지봉과 윤형 철조망에 대해선 "저지봉의 훼손이 있지 않아 그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았나 생각된다"며 "철조망의 경우 외부 형상으로는 (훼손이)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라고 전했다. 정 장관은 "그쪽(북한)에서도 우리보다 더한 경계 실패의 책임이 있을 것"이라며 "경계태세 실패와 관련해서 군 기강을 다시 확립해야 할 부분들이 분명히 있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