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패스트트랙 즉각 통과 정의당 비상행동에 참석한 심상정 정의당 대표. (사진=이성헌 기자) [경제타임스=이성헌 기자]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선거법 개정안을 놓고 민주당과의 협상이 중단된 것에 대해 "국민들에 대한 협박"이라며 반발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15일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4+1협의체와의 협상에서 선거법 조정을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최고위원회의 후 브리핑을 통해 “4+!협의에서 연동형 캡 석패율 등과 관련한 이견이 있어 선거법 관련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며 “선거법과 관련한 조정안, 협의안 등은 더 이상 추진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인영 원내대표도 “연동형 캡과 석패율 등과 관련한 이견 때문에 4+1협의체에서 선거법과 관련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며 “따라서 선거법 관련 조정안에 대해 더 이상 협의를 추진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심상정 대표는 이에 반발해 16일 국회 본청 앞 정의당 농성장에서 열린 사무위원회 자리에서 민주당을 향해 “민주당은 개혁을 거부하는 한국당과의 합의를 의식해 수시로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국회의원의 연봉을 30% 가량 삭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 = 경제타임스 DB) [경제타임스=이성헌 기자]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1억5100만원에 달하는 국회의원의 연봉을 30% 가량 삭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 대표는 지난 8일 첫 유튜브 라이브 방송인 ‘심금 라이브’를 통해 이같은 주장을 밝혔다. 심 대표는 정의당이 당론으로 내세운 ‘국회의원 세비 최저임금 5배 이내 삭감’과 관련된 이야기를 했다. 심 대표는 국회의원의 연봉을 “통상적인 연봉으로 치면 1억5100만원, 한 달에 1265만원”이라며 “한 달 월급이 최저임금(174만원)의 7.25배 정도”라고 말했다. 심 대표는 “지금 소득 격차가 크니까 국민의 대표인 국회의원부터 솔선수범한다는 의미에서 최저임금과 연동해 5배 이내로 하자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구체적인 액수를 어떻게 정할지는 ”셀프가 아니라 세비 위원회를 별도로 구성해서 5배 이내에서 정하자는 것이 당론“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심 대표는 이자스민 전 의원이 최근 정의당에 영입된 과정도 설명했다.
[경제타임스=이종혁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여야 정당들에게 추경안의 신속한 심사를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3일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여야 각 정당이 경제를 걱정하는 말들을 많이 한다”며 “그럴수록 빨리 국회를 열어 활발하게 대책을 논의해 달라”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6월이 시작됐는데 국회가 정상화하지 않아 국민의 걱정이 크다”며 “올해 들어 법안 처리를 위한 본회의는 단 3일 열렸고, 4월 이후 민생법안이 단 한 건도 처리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정부 추경안이 제출된 지도 40일째가 된 만큼 국회도 답답함과 책임감을 느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국회 정상화와 필요성을 강조하며 “저는 이미 여러차례 국회 정상화와 추경의 신속한 처리를 위해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 개최, 정당 대표들과의 회동을 제안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