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2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는 장마‧집중호우 등의 영향으로 농축 수산물 가격이 크게 상승하며 지난해보다 0.7%p 올랐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8월 소비자물가가 장마‧집중호우 등의 영향으로 농축수산물 가격이 크게 상승하며 지난해보다 0.7%p 올랐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5.50(2015=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0.7%p 상승했다. 3월(1.0%)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이후에는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인해 5월에는 마이너스(–0.3%)를 기록했고, 6월에는 보합(0.0%)으로 나타났다. 다만 여전히 저물가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두원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7%로 올랐으나 높은 수준은 아니다"며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저물가가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농축수산물은 역대 최장기간 장마(54일) 및 집중호우에 기저효과가 중첩되며 채소류(28.5%p) 중심으로 작년보다 10.6%p 상승했다. 각각 농산물은 12.1%p, 축산물은 10.2%p, 수산물은 6.4%p 올랐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3%로 나타나며, 지난 4월 이후 3개월 만에 플러스를 기록했다. 사진은 서울시 한 대형 마트에서 한 시민이 장을 보고 있는 모습. (경제타임스 자료사진)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3%로 나타나며, 지난 4월 이후 3개월 만에 플러스를 기록했다. 다만 고교 납입금·유치원 납입금 등 무상 교육 정책, 코로나19 이후 여전히 낮은 수준인 국제유가 등이 0%대의 저물가로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86(2015=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0.3%p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 –0.4%까지 떨어졌으나, 올해 1월부터는 1%대로 올라섰다. 이후 코로나19 여파로 4월 0.1%로 떨어졌다. 5월에는 8개월 만에 마이너스(–0.3%)를 기록했고, 6월에는 보합(0.0%)을 나타나며 마이너스를 벗어났다.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6.4% 오르며 전체 물가 상승률을 0.48%p 올렸다. 채소류가 16.3% 오르며 농산물 물가 4.9% 상승에 기여했고, 축산물과 수산물은 각각 9.5%와 5.2% 상승했다. 반
6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전월대비 0.5% 오르며, 5개월 만에 상승했다. 사진은 서울시 내 한 대형마트에서 장보는 시민 모습. (경제타임스 자료사진)6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전월대비 0.5%p 오르며, 5개월 만에 상승했다. 21일 한국은행은 ‘2020년 6월 생산자물가지수’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02.52로, 한 달 전보다 0.5%p 상승했다. 생산자 물가지수가 상승한 것은 2월 이후 5개월 만이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통계로 경기 동향 판단지표, GDP 디플레이터 등으로 이용된다. 농림수산품 생산자물가는농산물, 축산물 및 수산물이 모두 내려 전월대비 1.6%p 하락했고, 공산품은 석탄 및 석유제품, 화학제품 등이 상승해 5월보다 1.0%p 올랐다. 전력,가스,수도및폐기물은 전력, 가스 및 증기가 내려 전월대비 0.1%p 하락, 서비스는 정보통신 및 방송서비스, 금융 및 보험서비스 등이 올라 그 전달보다 0.3%p 상승했다. 특수 분류별로는식료품은 전월대비 0.8%p, 신선식품은 3.3%p 하락했다. 반면, 에너지는 5월보다 4.5%, IT는 0.8%p 올랐다. 6월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8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석유류 가격 급락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사진은 3월 서울 소재 한 주유소 모습. (경제타임스 자료사진)소비자물가 상승률이 8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석유류 가격 급락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고교 무상교육 실시 등에 따른 공공서비스 물가 하락도 원인으로 작용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5월 소비지물가 지수는 104.71(2015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0.3% 하락했다. 지난해 9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0.4% 하락해 사상 처음 마이너스를 기록한 이후 8개월 만에 다시 마이너스 상승률을 보였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12개월 연속 1%이하로 나타나다 올해 1월 1.5%를 시작으로 3월 1.0%까지 1% 이상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코로나19의 여파로 4월 0.1%로 떨어졌고, 5월에는 0.3% 하락하면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품목 성질별 동향을 보면 농축수산물은 3.1% 상승했다. 특히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가정 내 음식 소비가 늘어나 채소류(9.8%), 축산물(7.2%), 수산
경기가 둔화되면서 물가가 제자리걸음을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으로 일관했던 소비자물가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전년 동월 대비 보합세를 보였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81로 산출됐다. 이로써 지난해 같은 달 대비 0.0%의 상승률을 보였다. 통계청은 이 같은 보합상승률은 반세기 훨씬 전인 1965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처음 있는 일이라고 밝혔다. 통계청은 8월 상승률을 보다 세밀하게 소수점 세 자리 수까지 따지면 지난해 동월보다 0.038% 하락해 사실상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이두원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공식적인 물가상승률은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면서도 “지수상으로는 마이너스가 성립한다”고 설명했다. 소비자물가 추이를 보면 전년 동기 대비 물가 상승률은 1월 0.8%를 기록한 이후 연속해 1%를 밑돌다가 이번에 0.0%로 하락했다. 물가상승률이 연속 0%대를 기록한 것은 2015년 2~11월(10개월) 이후 최장 기록이다. 통계청은 농·축·수산물 가격 하락과 석
9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7%, 전년동월대비 1.9% 각각 상승하며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8년 9월 소비자물가동향통계청이 5일 발표한 '2018년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전년동월비는 석유류 상승폭 축소에도,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 전기료 인하 종료로 8월보다 높은 1.9% 상승하였으며 지난 2017년 10월 이후 12개월 연속 1%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전월비는 폭염·폭우로 채소, 과실 등 농산물 상승이 이어졌고, 한시 인하 종료로 전기료가 상승하여 0.7% 상승했다.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1.2% 각각 상승,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1% 하락, 전년동월대비 1.0% 상승,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1.2%, 전년동월대비 2.2% 각각 상승했다. 전년동월대비 식품은 3.1%, 식품이외는 1.7% 각각 상승,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7.5%, 전년동월대비 8.6% 각각 상승, 전년동월대비 신선어개 4.5%, 신선채소 12.5%, 신선과실 6.4% 각각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