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캡션서울시가 외부전문가가 참여하는 ‘서울시 성차별‧성희롱 근절 특별대책위원회’를 구성한다. 서울시는 외부전문가가 참여하는 ‘서울시 성차별‧성희롱 근절 특별대책위원회’, 5급 이하 직원이 참여하는 ‘성평등문화 혁신위원회’를 각각 구성해 가동한다고 3일 밝혔다. 이어 ‘서울시 성차별·성희롱 근절 특별대책’을 9월까지 마련한다. 송다영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이날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직장 내 성차별‧성희롱 문제의 근절을 위해서는 조직문화의 획기적 개선 및 실효성 있는 제도 확립이 필요하고, 서울시정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 회복을 위해서도 자정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먼저,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서울시 성차별‧성희롱 근절 특별대책위원회’는 총 15명으로 구성하며, 위원장은 서울시 성평등위원회 위원인 김은실 이화여대 교수와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이 공동으로 맡는다. 외부위원으로는 여성‧시민‧청년단체 3명, 학계 1명, 교육․연구기관 2명, 변호사 1명, 노무사 1명, 내부위원으로
서울시가 전국 아르바이트 청년 6,722명을 대상으로 성희롱 실태조사를 처음으로 실시한 결과 31%, 3명 중 1명꼴로 근무 중 성희롱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서의 피해가 66%로 가장 높았다. 성희롱 피해 후 대처에 대해서는 관련 기관을 통해 민원을 접수했다는 응답이 2%에 불과했고, 절반 이상이 참고 넘어가거나(60%) 대응 없이 그만뒀다(15%)고 응답했다. 피해 발생 시 어디서 도움을 받아야 할지 모른다고 답한 경우도 68%에 달했다. 서울시가 전국 아르바이트 청년 6,722명을 대상으로 성희롱 실태조사를 처음으로 실시한 결과 31%, 3명 중 1명꼴로 근무 중 성희롱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제공=서울시 실태조사는 서울시와 알바몬, 알바천국이 전국 아르바이트 청년 6,722명을 대상으로 10일 간(‘18.11.12~11. 21) 공동 조사했다. 서울시와 서울지방고용노동청,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전국가맹점주협의회, 청년유니온, 알바천국, 알바몬 등 총 7개 민간‧공공 단체가 이러한 아르바이트 현장의 실태를 개선하고 ‘성희롱 없는 안심일터’를 만들기 위한 「서울 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