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생산자물가지수가 한 달 만에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8월 이동통신요금과 주택용 전기요금 인하 조치가 종료되면서 서비스·전력요금이 동시에 오름세를 보인 것이 주요 원인이다. 한국은행이 10월22일 발표한 ‘2025년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에 따르면,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지난 8월 0.1% 하락에서 한 달 만에 반등한 것이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2% 올라 상승폭이 확대됐다. 부문별로 보면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 부문이 전월 대비 1.1% 올랐다. 주택용 전력과 산업용 도시가스가 각각 14.4%, 5.8% 상승하며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 한국은행 이문희 경제통계1국 물가통계팀장은 “주택용 전력은 하계 누진 구간 완화로 인한 요금 인하 효과가 9월 종료되면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서비스 부문도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이동통신서비스 요금 인하 종료로 ‘정보통신 및 방송서비스’가 4.0% 올랐고, 주식시장 상승에 따라 위탁 매매 수수료가 늘어나면서 ‘금융 및 보험서비스’도 1.4% 상승했다. 이 팀장은 “이동통신서비스 및 주택용 전력 요금 상승이 없었다면 생산자물가는 전월 대비 0.1% 오르는 데 그쳤을
10월 농림수산품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달보다 9.6%p 하락했다. 농산물(-15%p), 축산물(-5.4%p), 수산물(-1.1%p) 등 모두 내림세를 기록했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생산자물가지수가 5개월 만에 하락세를 기록했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10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02.92(2015년=100)로 9월보다 0.5%p 하락했다. 지난 6월 이후 9월까지 이어진 오름세가 멈춘 것이다. 농림수산품은 9.6%p 하락했다. 전달 대비 농산물(-15%p), 축산물(-5.4%p), 수산물(-1.1%p) 등 모두 내림세를 기록했다. 공산품은 석탄 및 석유제품, 컴퓨터, 전자및광학기기 등이 내리면서 0.1%p 하락했다. 반면 화학제품(0.4%), 음식료품(0.3%)과 서비스업 중 음식점·숙박(0.2%), 운송(0.2%), 등의 물가는 소폭 올랐다. 전력, 가스, 수도 및 폐기물은 지난달보다 0.7%p 하락했다. 서비스는 부동산(0.2%p), 운송(0.2%p) 등이 올랐으나 금융 및 보험(-0.4%p), 정보통신 및 방송(-0.4%p)등이 내려 보합을 기록했다. 특수 분류별로는 식료품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태풍과 역대 가장 긴 장마의 여파로 농산물 16%p 오르며 3달 연속 상승했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생산자물가지수가 3달 연속 상승했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8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03.19(2015=100)로, 한 달 전보다 0.5%p 상승했다. 이로써 생산자 물가지수는 지난 6월, 5개월 만에 오른 이후 3개월 연속 오름세를 유지했다. 농림수산품은 6.1%p 상승했다. 태풍과 역대 가장 긴 장마의 여파로 농산물 16%p 오른 영향이다. 배추, 호박, 사과가 각각 80.9%p, 172.6%p, 22.6%p 급등했다. 축산물과 수산물 물가는 각각 2.3%, 3.0% 하락했다. 공산품은 석탄 및 석유제품, 제1차 금속제품 등이 상승해 0.2%p 올랐다. 전력, 가스, 수도 및 폐기물은 전력, 가스 및 증기를 중심으로 지난달보다 0.2%p 올랐다. 서비스는 역대 최고치인 107.18을 기록했다. 여름 성수기 요금제 적용으로 음식점 및 숙박 물가가 상승하고, 주가가 강세를 보이며 금융 및 보험서비스가 올라 전월 대비 0.3%p 상승했다. 특수 분류별로는 식료품이 전월대
6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전월대비 0.5% 오르며, 5개월 만에 상승했다. 사진은 서울시 내 한 대형마트에서 장보는 시민 모습. (경제타임스 자료사진)6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전월대비 0.5%p 오르며, 5개월 만에 상승했다. 21일 한국은행은 ‘2020년 6월 생산자물가지수’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02.52로, 한 달 전보다 0.5%p 상승했다. 생산자 물가지수가 상승한 것은 2월 이후 5개월 만이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통계로 경기 동향 판단지표, GDP 디플레이터 등으로 이용된다. 농림수산품 생산자물가는농산물, 축산물 및 수산물이 모두 내려 전월대비 1.6%p 하락했고, 공산품은 석탄 및 석유제품, 화학제품 등이 상승해 5월보다 1.0%p 올랐다. 전력,가스,수도및폐기물은 전력, 가스 및 증기가 내려 전월대비 0.1%p 하락, 서비스는 정보통신 및 방송서비스, 금융 및 보험서비스 등이 올라 그 전달보다 0.3%p 상승했다. 특수 분류별로는식료품은 전월대비 0.8%p, 신선식품은 3.3%p 하락했다. 반면, 에너지는 5월보다 4.5%, IT는 0.8%p 올랐다. 6월 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