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MS-P 통합인증 본격적인 시행 1년 만에 정보보호 강화 효과를 확인했다. (사진=경제타임스)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ISMS-P)를 본격 시행한 지 1년이 지나면서 관련 기관 및 기업들의 정보보호 관련 인식은 개선되고, 인증 비용과 시간을 줄이는 등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ISMS-P(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인증제도 본격시행 결과 관련 기관 및 기업들로부터 제도운영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등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고 7일 밝혔다. ISMS-P 통합인증은 정보 및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기관 또는 기업의 정보보호 관리과정, 보안수준 등 관리체계(ISMS)와 개인정보의 수집․이용․파기 등 개인정보 관리체계(PIMS)의 중복 부분을 제거하고 하나로 묶어 심사․인증하는 제도이다. 기관 또는 기업은 업무성격에 따라 ISMS-P와 ISMS 인증을 선택해 받을 수 있다. ISMS-P 통합 전에는 ISMS 104개, PIMS 86개의 인증기준이 있었으나 102개 인증기준(관리체계 16개, 정보보호 대책 64개, 개인정보 처리 22개)으로 통합해 유사중복 요소를 대폭 간소화됐다. ISMS-P 통합으로 인증 비용과 시간 등이 대폭 절
한상혁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과 노동조합이 함께 코로나19 여파로 소비위축을 겪고 있는 친환경농산물 재배농가 및 취약계층 지원에 동참했다. (사진=경제타임스)방송통신위원회가 노동조합과 함께 코로나19 여파로 소비위축을 겪고 있는 친환경농산물 재배농가 및 취약계층 지원에 동참했다. 한상혁 방송통신위원회(이하·방통위)위원장은 6일 안양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코로나19로 인해 소비위축을 겪고 있는 학교급식용 친환경농산물 재배농가의 농산물을 구매해 ‘친환경농가 살리기’에 동참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한 위원장은 구매한 농산물을 5월 가정의 달을 맞이해 지역 아동복지시설과 기초생활수급자 등에게 전달하고 격려했다. 대상 ‘아동복지시설’은 방통위 노사가 지역 사회의 어려운 이웃을 위한 희망나누기 운동을 꾸준히 실천해 오던 곳으로, 이번 지원에도 방통위 노동조합이 함께했다. 방통위 관계자는 “앞으로도 방통위 노사는 코로나19로 인한 고통을 나누고 어려운 상황을 조기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방면의 지원을 계속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진자의 동선이 14일 후에도 각종 포털사이트에 노출되고 있어 방송통신위원회가 SNS 등 동선정보를 삭제해 줄 것을 요청했다. (사진=경제타임스)코로나19 확진자의 동선이 14일 후에도 각종 포털사이트에 노출되고 있어 방송통신위원회가 SNS 등 동선정보를 삭제해 줄 것을 요청했다. 방송통신위원회(이하·방통위)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코로나19 확진자의 동선정보가 공개된 지 14일이 지난 뒤에도 포털사이트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어 네이버, 구글, 페이스북, 정보제공 앱 등 사업자에게 공개기간이 끝난 동선정보를 삭제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4일 밝혔다. 특히 포털, 맘카페, 블로그 등에 대해서는 기한이 끝난 확진자 동선정보 게시물이 삭제될 수 있도록 일정기간 팝업창을 통한 안내 등 협조를 요청하고, 해당 게시물을 올린 이용자의 자발적인 삭제도 당부했다. 이는 확진자의 사생활 침해와 동선에 포함된 업소의 2차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방통위는 사업자나 SNS 운영자 등이 이를 방치해 피해가 발생할 경우 손해배상 등 책임을 질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삭제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방통위는 “지난 2월
방송통신위원회는 2019년 하반기 휴대전화 및 이메일 스팸의 발송량, 수신량과 스팸차단율 등 스팸유통 현황을 조사한 ‘2019년 하반기 스팸 유통현황’을 발표했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 방송통신위원회가 2019년 하반기 휴대전화 및 이메일 스팸의 발송량, 수신량과 스팸차단율 등 스팸유통 현황을 조사한 ‘2019년 하반기 스팸 유통현황’을 발표했다. 스팸 유통현황 조사결과는 ‘공공데이터포털에 게시되는 공공 데이터로서 사업자의 자발적 스팸 감축 노력을 유도하고 국민의 알 권리 증진을 위해 2012년부터 매년 2회 발표하고 있다. ‘2019년 하반기 스팸 유통현황’에 따르면 2019년 상반기와 비교할 때 휴대전화 음성스팸은 5만건, 문자스팸은 25만건 감소했다. 음성스팸의 감소에는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통한 스팸 감소와 불법대출 유형 스팸 감소가 영향을 줬다. 문자스팸은 휴대전화 서비스를 통한 스팸의 감소와 불법대출 및 대리운전 유형의 스팸 감소의 영향을 받아 다소 감소했으며 문자스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대량문자 발송서비스를 통한 스팸이었다. 한편 이메일 스팸은 국내 발송량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