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간 NH농협은행 고객이 당한 대출사기가 7931건, 피싱·파밍이 3266건 발생해 총 1만1197건의 금융사기가 발생했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최근 5년간 NH농협은행 고객이 당한 대출사기, 피싱·파밍 등 금융사기는 1만1197건, 피해액은 1306억원에 달했다. 어기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NH농협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NH농협은행 고객이 당한 대출사기가 7931건, 피싱·파밍이 3266건 발생해 총 1만1197건의 금융사기가 발생했다. 피해액은 1306억 1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H농협은행 고객이 당한 금융사기 건수와 피해액은 각각 2015년 1186건, 피해액 71억 백만원에서 2019년 4158건, 663억 2,00만원까지 증가했다. 건수만 3.5배 피해액은 9.3배 증가한 것이다. NH농협은행은 금융사기 방지를 위해서 의심계좌 모니터링 센터 운영 및 보이스피싱 예방 안내장 제작 등에 지난 5년간 20억 6900만원을 투입했다. 연간 4억 1300만원 정도의 예산이 금융사기 방지를 위해 투입된 것이다. 어기구의원은 “금융사기 피해건수와 피해액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날로 고도화되고
중소벤처기업부는 NH농협은행과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소재 소상공인 지원에 대한 협력 강화를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NH농협은행은 지역 소상공인의 자금 지원을 위해 소상공인 이차보전대출,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역신보 특별출연 대출, 영세관광 사업자 특별금융지원 등 연말까지 2조원을 공급한다. 이와 함께, 지역 소상공인의 금융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해 모바일 등 비대면 서비스를 시행하고 확진자 발생 등으로 금융점포가 일시 폐쇄된 지역에는 이동점포를 설치·운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또한, 신속한 경영애로 극복을 위해 재무, 세무, 상권분석 등의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고 우수기술을 보유한 농식품 영위 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자금지원 서비스도 실시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박영선 장관은 “농협은행은 다른 은행과 달리 읍면 소재지에도 널리 퍼져있어 이번 협약으로 상대적으로 금융기관 접근이 어려웠던 지방의 소상인들도 보다 빠르고 편하게 지원을 받으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중기부는 앞으로도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의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다른 금융기관들과의 협력도 확대해 나가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