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이 24일 오후 2시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지도부 사퇴 입장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발언하고 있다. (사진=김상림 기자)민주노총이 임시 대의원대회에서 ‘노사정 잠정 합의안’을 부결시키면서, 김명환 위원장 등 지도부가 임기 5개월을 남겨두고 사퇴했다. 이후 민주노총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된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24일 오후 2시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지도부 사퇴 입장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짧은 시간이었지만 시대적 요구를 걸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활동과 교섭 그리고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 최종안 승인을 호소드렸지만 부결됐다”며, “온라인 임시대의원대회 투표를 통해 확인된 대의원들의 뜻을 어느 때보다 무겁게 받아들이고 겸허한 마음으로 수용한다”고 밝혔다. 이어 “따라서 이미 예고한대로 임기가 5개월 남짓 남았지만, 책임을 지고 위원장, 수석부위원장, 사무총장직을 사퇴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견에는 김 위원장을 비롯해 김경자 수석부위원장, 백석근 사무총장, 송보석 대변인 등 지도부 전원이 참석했다. 김 위원장은 “민주노총은 지금 시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일자리를 지키고 고용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판
민주노총이 ‘노사정 잠정 합의안’을 추인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김명환 위원장 등 집행부는 입장을 밝히고 사퇴할 것으로 보인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민주노총이 ‘노사정 잠정 합의안’을 추인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노사정이 모두 참여한 22년 만의 대회적 대화 타결이 무산됐다. 이에 김명환 위원장 등 집행부는 입장을 밝히고 사퇴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은 23일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제71차 임시 대의원회의를 열고 지난달 말 나온 노사정 잠정 합의안 승인 안건을 상정해 온라인 찬반 투표를 진행했다. 그 결과 재적 대의원 1479명 중 1311명이 투표에 참여해 찬성 499명, 반대 805명으로 부결됐다. 노사정 대화는 민주노총이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참여를 거부하며 원포인트 협의 틀을 요구해 시작됐다. 약 40일간 협상을 통해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한 고용 유지, 기업 살리기, 사회 안전망 확충 등의 내용을 담았다. 그러나 민주노총 내 일부 조합원들이 ‘해고 금지’ ‘총 고용 유지’ 등 노동계의 핵심 요구가 잠정 합의문에 “최대한 노력한다” 등 모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