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에서 2020년 8월까지 서울의 갭투자 7만1564건 중 30대가 30.7%(2만1996건)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 최근 2년여간 서울과 수도권 갭투자자 중 30대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토교통부가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 국토교통위원)에게 제출한 ‘수도권 연령대별 주택거래 현황’에 따르면, 2019년에서 2020년 8월까지 서울의 갭투자 7만1564건 중 30대가 30.7%(2만1996건)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20대 또한 3939건으로 5.5%였다. 서울의 갭투자자 3명 중 1명은 2030세대인 셈이다. 서울 자치구 중 30대 갭투자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곳은 성동구로, 39.6%(1,175건)였다. 다음으로 강서구(35.4%), 중구(35.2%), 동작구(34.7%),구로구(34.1%) 순이었다. 서울 외 경기도 성남(36.2%), 과천(33.3%), 광명(29.9%), 안양(35.2%), 구리(32.2%)에서도 갭투자 중 30대 비율이 최다였다. 한편 갭투자 차단 목적의 대출 규제가 담긴 6.17대책 발표 이후에도 30대의 갭투자는 5월 31.0%에서
직방 조사에 따르면 10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총 1만 7865세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10월 전국 아파트 1만7865세대가 입주할 것으로 조사되어 전월대비 33%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직방 조사에 따르면 10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총 1만 7865세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직전 3분기 월평균 입주 물량이 3만여 세대인 점을 볼 때 비교적 적은 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2만 6681세대가 공급됐던 전월에 비해서도 33%가량 적다. 한동안 입주 물량이 집중됐던 지방에서 공급이 줄며 전체 입주 물량이 줄어들 예정이다. 10월 지방 입주 물량은 7071세대로 올해 월별 지방 입주 물량 중 가장 적다. 전월 물량(6770세대)이 비교적 적었던 수도권은 경기(7415세대) 위주로 새 아파트 입주가 진행되면서 전월대비 59% 증가해 1만 794세대가 입주한다. 서울은 영등포구에서만 3개 단지가 입주하며 1921세대, 인천은 송도, 작전동 등에서 1458세대가 공급된다. 10월은 전국 총 29개 단지가 입주한다. 수도권에서는 14개 단지, 지방은 15개 단지가 집들이를 시작한다. 수도권은 서울 3개 단지, 경기 6개 단지, 인천 5개
(주)직방이 국토교통부 전세 실거래가 데이터를 통해 서울 전세시장을 분석한 결과, 서울 전세 실거래가격이 8월에는 평균 4억1936만원(전월대비 3806만원 하락)으로 낙폭이 커졌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서울지역 아파트 전세 실거래가격이 8월 평균 4억1936만원으로 낮아졌다. 이와 함께 전세 거래량도 크게 감소했다. (주)직방이 국토교통부 전세 실거래가 데이터를 통해 서울 전세시장을 분석한 결과, 서울 전세 실거래가격이 지난 6월에 평균 4억8282만원으로 역대 최고가격으로 거래됐으나 7월에는 평균 4억5742만원으로 전월 대비 2540만원 떨어졌다. 8월에는 평균 4억1936만원(전월대비 3806만원 하락)으로 낙폭이 커졌다. 권역별로는 한강 이남이 서울 전체 평균가격 추이와 유사한 흐름을 보였으며, 한강 이북은 9월에도 소폭 하락했다. 한강 이남은 6월 평균 5억4464만원이었으나 8월 들어 평균 4억5612만원으로 큰 폭으로 하락했다. 9월 평균가격은 4억 9191만원으로 8월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5억원을 밑도는 수준이다. 한강 이북 역시 6월에 가장 높은 가격(4억465만원)으로 거래됐으나 7~9월 연속 하향세를 그리고 있다. 한강 이남, 이북 모
17일 국세청이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에게 제출한‘최근 5년간 세대별 부동산 수증 현황’에 따르면 2018년 현재 20・30대가 물려받은 주택과 빌딩 등 건물 건수는 1만4602건, 증여 액수는 3조 1596억원에 달했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2030세대가 증여받은 주택과 빌딩 규모가 2018년 한해에만 3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세청이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에게 제출한 '최근 5년간 세대별 부동산 수증 현황’에 따르면 2018년 현재 20·30대가 물려받은 주택과 빌딩 등 건물 건수는 1만4602건, 증여 액수는 3조 1596억원에 달했다. 2014~2016년 3년간 1734건 늘어났던 2030의 건물 증여는 2017년 들어 9856건으로 전년 대비 1682건 증가했고, 2018년에는 4746건 급증한 1만 4062건이다. 증여금액은 2017년 전년 대비 6,063억원이 증가한 1조 8,906억원에 달했고, 2018년에는 1조 2690억원이 늘어난 결과, 한해 2030이 받은 건물 가격만도 3조 1596억원으로 나타났다. 김상훈 의원은 “향후 집을 물려받은 청년과 그렇지 못한 청년 간의 주택자산 양극화 문제가 대두될 것”이라며 “지금부터라도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는 3D모델과 공사정보(자재, 공정, 공사비, 제원 등)를 결합해 건설 전 과정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기술이다. (자료=국토교통부)국토교통부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스마트건설 챌린지 2020’의 일환인 BIM 라이브 현장경연을 9일부터 3일간 코로나19 방역조치가 완비된 일산 킨텍스에서 공동 개최한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는 3D모델과 공사정보(자재, 공정, 공사비, 제원 등)를 결합해 건설 전 과정의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기술이다. 또,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급성장 중인 ‘스마트건설기술’의 핵심이 되는 3차원 설계와 빅데이터의 융복합 기술로서, BIM 설계를 통해 설계·시공·관리상 오류와 낭비 요소를 사전에 검토할 수 있어 건설공사의 생산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에 국토부는 2025년 전면 BIM 설계’를 목표로 관련 정책 및 R&D 등을 추진 중이며, 이번 경연도 업계의 BIM 도입 활성화를 지원‧장려하기 위해 개최된다. 총 6개 팀(설계·시공&m
2분기 서울의 상가 수는 37만321개로, 1분기(39만1499개)와 비교해 5.4%(2만1178개) 감소했다. (자료=부동산114)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서울에서 문을 닫는 음식점과 PC방 등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부동산114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상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분기 서울의 상가 수가 37만321개로, 1분기(39만1499개)와 비교해 5.4%(2만1178개) 감소했다고 밝혔다. 업종별로 보면 음식점이 1분기 13만4041개에서 2분기 12만4001개로, 3개월 동안 1만40개(7.5%)가 사라져 가장 많이 줄었다.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재택근무를 하는 회사가 늘어나고 외식이 줄면서 매출 감소를 견디지 못한 음식점들이 속속 문을 닫는 것으로 부동산114는 분석했다. 편의점, 마트 등 소매업은 1분기 12만6953개에서 2분기 12만3003개로 3950개(3.1%) 감소했고, 인쇄소와 미용실 등 생활서비스 업종 상가는 3개월 새 6만8002개에서 5만4529개로 3473개(5.1%) 줄었다. 소매 업종 상가는 3.1%(3천950개), 학문·교육 업종은 5.2%(1655개) 감소했으며 부동산은 5.1%(803개),
2019년 한국의 전기차 수출은 세계 4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수출은 세계 5위를 기록했다. (자료=한국무역협회)최근 한국의 자동차 수출은 둔화됐으나 전기차 등 친환경차의 수출은 급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3일 발표한 ‘친환경차 수출 현황과 우리의 경쟁력 진단’에 따르면 한국의 친환경차 수출액은 2017년 36억 달러에서 2019년 59억8000만 달러로 증가했고 전체 자동차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8.6%에서 13.9%로 확대됐다. 2019년 한국의 전기차 수출은 세계 4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수출은 세계 5위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전체 자동차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7.3% 감소한데 반해 친환경차 수출액은 22.5% 증가하며 호조세를 이어갔다. 친환경차가 전체 자동차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와 전기차의 수출경쟁력은 지난 3년 간 지속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분석됐다. 값이 클수록 수출 경쟁력이 높은 현시비교우위(RCA: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지수를 살펴보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2017년 1.57
[경제타임스=고상훈 기자] 박선호 국토교통부 제1차관은 22일정부가 "올 1~5월 주택 구매자 4명 중 1명은 실거주가 아닌 투기, 투자수요였다"고 답했다. 박선호 국토교통부 제1차관은 22일 "올 1~5월 주택 구매자 4명 중 1명은 실거주가 아닌 투기, 투자수요였다"고 말했다. 박선호 국토교통부 제1차관은 이날 유튜브 채널 '삼프로-경제의 신과 함께'에 출연해 "그동안 정부가 부도안대책을 많이 냈음에도 여전히 투기 수요가 시장에 존재하는 건 여전히 다주택 보유를 통한 수익률이 높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 때문에 이익 환수 장치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올해 1~5월 주택 구매자를 분석한 결과 2주택 이상 보유하고 있으면서 추가로 주택을 매수한 비중이 16%였고 법인 구입이 9%였다"며 "합하면 25%로, 주택 매수자 4명 중 1명 이상은 실거주 목적이 아니라 투기, 투자적 목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차관은 "현재 다주택 보유를 통한 수익률이 너무 높다"며 "서울 몇 개 단지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해 본 결과 주택 매수, 보유, 매도 과정에 부과되는 세금을 제하고 순수 수익률만 연평균 10~14%
21일부터 인터넷 포털이나 모바일 앱 등에 게재되는 부동산 광고를 정부가 모니터링하고 허위·과장 광고에 대해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사진=경제타임스 자료사진) [경제타임스=고상훈 기자] 21일부터 인터넷 포털이나 모바일 앱 등에 게재되는 부동산 광고를 정부가 모니터링하고 허위·과장 광고에 대해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국토교통부는 이날부터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한 공인중개사법 개정안이 시행된다고 밝혔다. 개정된 공인중개사법에는 공인중개사가 인터넷 공간에서 허위·과장 광고를 올리는지 정부가 모니터링하고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물릴 수 있게 하는 내용이 담겼다. 국토부는 모니터링 업무를 전문 조사기관인 한국인터넷광고재단에 위탁했다. 모니터링은 분기별로 진행되는 기본 모니터링과 국토부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시행하는 수시 모니터링으로 분류된다. 재단은 네이버 등 인터넷 포털과 부동산 114와 같은 부동산 정보제공업체는 물론 다방과 직방 등 모바일 업체에 대해서도 모니터링을 벌이게 된다. 인터넷 광고에 존재하지 않는 허위매물을 올리거나 매물이 실제 있기는 하지만 중개 대상이 될 수 없거나 중개할 의사가 없는 경우 부당 광고를 한 것으
[경제타임스=고상훈 기자] 이르면 오는 10월부터 전월세전환율을 현행 4.0%에서 2.5%로 하향 조정될 전망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현행 4%인 월차임전환율(전월세전환율)을 2.5%로 하향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임대차법 시행으로 월세 전환이 급증하고 전세 매물은 줄어드는 데 따른 조치다. 홍 부총리는 “현행 4%인 월차임 전환율이 임차인의 월세 전환 추세를 가속화하고 임차인 부담을 가중할 수 있다는 지적 등을 감안했다”고 말했다. 정부 조치로 현행 ‘기준금리(0.5%)+3.5%=4.0%’이던 전월세전환율은 ‘기준금리(0.5%)+2.0%=2.5%’로 바뀐다. 정부는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령을 8월 말 입법예고하고 10월부터는 새로운 월차임 전환율 규정이 시장에 적용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