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혜 부총리겸 교육부 장관이 놀이중심 방과 후 과정의 유치원 영어교육을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정부는 공교육 정상화를 명분으로 유치원, 어린이집의 영어교육을 금지시켰다. 10개월 만에 뒤집은 셈이다.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기영어 교육에 대해서는 전문가들도 찬반이 갈리지만, 정부가 손바닥 뒤집듯 이렇게 교육정책을 쉽게 바꾸는 것은 더 큰 문제다. 애초 대입수능 절대평가, 유치원 영어교육 금지, 자사고ㆍ특목고 폐지를 들고 나와 교육개혁을 부르짖던 것도 엊그제 같은 일인데, 교육 수장이 새로 바뀌면서, 교육정책도 뒤집혔다. 정부 교육 정책이 갈팡질팡하는 것은 교육철학이 없다는 증거다. 공교육을 살리겠다는 것도 아니고, 대입에서 정시모집을 늘리겠다는 것을 보면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맞춘 미래 인재 육성에 관심을 두고는 있는 것인지 의심스럽다. 어디로 튈 지도 모르는 럭비공 같은 교육정책에 백년지대계 교육이 쑥대밭이 되고 있다. 왔다리갔다리 교육정책에 학부모와 학생들만 혼란스럽게 되었다. 영유아들은 더 혼란스럽다. 평범한 직장에서 사장님이 영어로 말하며 놀아보라고 하면 어떨까. 우리 아이들이 당장 맞닥뜨린 상황이다. 2018.10.4. 바른미래당
“총선 출마·불출마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얼마나 최선을 다하느냐가 중요하다”. 이는 ‘2020년 총선에 불출마 하겠느냐’는 대정부질의에 대한 유은혜 교육부장관의 답변이다. ‘차기 총선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말을 끝까지 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가? 결국 총선까지도 출마할 수 있다는 얘기인 것인가? 무능력과 도덕성의 결여를 넘어 ‘뻔뻔함의 극치’가 아닐 수 없다. 교육은 백년대계, 1년짜리 '단명(短命) 장관'이 이끌 수 있는 분야가 아니다. 국민들을 얼마나 우습게보면 1년 하다가 그만하고 또 총선에 나가겠다는 것인가? 하고 싶은 것도 많고, 되고 싶은 것도 많은 유 장관의 ‘끝 모를 욕심’에 교육 정책의 혼돈은 어쩔 것인지 답답한 노릇이 아닐 수 없다. 최소한의 양심이 있다면 총선 불출마 선언이라도 하는 것이 도리다. 취임식에서 “교육정책에 대한 국민 신뢰 회복”을 강조했는가?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유 장관 스스로의 사퇴가 그 출발이 되어야 한다. 인사는 ‘정치적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