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025년 한국 경제 성장률을 1.8%로 전망했다. 올해(0.9%)보다 높지만, 회복세는 완만하다. 내수는 소비·투자 회복세로 개선되지만,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수출은 1.3% 증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 “반도체 훈풍·확장재정이 성장 견인”
KDI가 11월11일 발표한 ‘2025 하반기 경제전망’에 따르면 GDP 성장률은 올해 0.9%, 내년 1.8%로 상향 조정됐다. 8월 전망치(1.6%)보다 0.2%p 높다. 정규철 KDI 거시·금융정책연구부장은 “반도체 경기 회복과 정부의 확장재정 효과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내년 소비는 금리 하락과 재정확대로 1.6% 증가, 설비투자는 반도체 중심으로 2.0%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건설투자도 올해 -9.1%에서 내년 2.2% 플러스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물가는 국제유가 하락으로 2.0% 상승률 유지, 인플레이션 안정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수출 1%대 둔화…관세 충격 본격화”
KDI는 내년 수출 증가율을 올해(4.1%)보다 낮은 1.3%로 제시했다. 미국의 관세 인상 여파가 본격화되면서, 올해 ‘선제적 수출 효과’가 사라질 것이란 분석이다. 김지연 KDI 경제전망 총괄은 “4월 고율 관세 발표 이후 반도체 등 일부 품목이 선방했지만, 관세 영향은 단지 ‘지연된 리스크’일 뿐 사라진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기업 체감은 더 비관적이다. 전경련 조사에 따르면 10대 수출 주력업종 150개 기업 중 67%가 ‘통상환경 불확실성’을 최대 리스크로 꼽았다. 자동차(-3.5%), 철강(-2.3%), 석유제품(-1.3%) 등 제조업 전반의 수출 감소가 예상된다.
■ “확장재정, 회복 이후엔 정상화 필요”
KDI는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가 단기 경기 부양에는 유효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재정건전성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향후 5년간 GDP 대비 4% 이상이 예상되며, 국가채무비율도 연평균 2.2%p씩 상승할 전망이다.
KDI는 “경기 회복세가 자리 잡으면 확장재정 기조를 점진적으로 정상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저출생·고령화에 대비한 복지 지출 구조 개편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