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중국 청장년 모두 ‘정년연장 움직임’에 분노 폭발
  • 김학준 기자
  • 등록 2020-12-01 10:47:34

기사수정

중국에서는 일반인들의 반발로 2012년 연금 적격 연령을 늘리자는 기존 제안이 무산된 경험이 있다. 연금을 총괄하는 중국 인력자원사회보장부(人力资源和社会保障部, Ministry of Human Resources and Social Security)는 현재 5개년 계획기간인 2020년까지 정년을 올려달라는 권고안을 포함시켰지만 시행되지 않았다.(사진 : 유튜브 캡처)중국은 급속한 고령화에 대처하기 위해 세계에서 가장 낮은 정년 연령을 연장하기 위해 새로운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이는 이미 국민들의 불만을 부추기고 있고 공산당의 개혁 이행 능력을 시험대에 올려놓을 것이라고 미국의 블룸버그 통신이 30일 보도했다. 

 

중국 공산당은 11월 초 경제 5개년 계획의 윤곽을 발표하면서, ‘정년 연기 실시’를 권고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변화를 시사했다. 이 계획의 구체적인 방안은 내년 3월에 공개될 예정이다.

 

중국의 정년은 기대수명이 높아졌음에도 남성 60세, 여성 화이트칼라 55세로 40년 넘게 변동이 없었다. 일본과 대만 같은 곳에서는 대부분의 남녀가 65세에 은퇴하여 연금을 받기 시작할 수 있다.

 

보험사 알리안츠(Allianz SE)가 70개국을 분석한 결과 세계 평균 정년 나이는 남성이 62.7년, 여성은 61.3년이었다.

 

중국 공산당 성명은 중국판 트위터 웨이보에 수만 건의 분노의 댓글이 달리는 등 국내에서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퇴직 나이에 가장 가까운 사람들이 낸 불만사항 중 1위는 연금 가입이 늦어질 것이라는 전망에 분노를 표출했다. 

 

그리고 젊은 사람들은 고령노동자의 증가는 그들의 고용 기회를 감소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이징 당국은 이 계획을 강행하고 있다. 관영 차이나 비즈니스 뉴스는 30일 1면에 “연장된 은퇴가 다가오고 있다”고 밝혔다.

 

뉴스는 익명의 관리들을 인용, 정책 입안자들 사이에서는 “단계적이고 유연한 접근”이 대체적인 합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퇴직제도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근로자가 국가가 지원하는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연령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정부 싱크탱크인 중국사회과학원은 지난해 보고서에서 도시근로자 주요 연금 기금이 2027년 7조 위안(약 1,180조 4,800억 원)에서 정점을 찍은 뒤 2035년에는 0으로 줄어들 것으로 추산했다. 2019년 잔액은 4조3000억 위안(약 725조 1,520억 원)이었다.

 

정년을 늘리는 것은 또 출산율 감소로 인한 노동인구 감소 속도를 늦춤으로써 중국의 경제 성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계산이다. 베이징은 60세 이상 인구가 지난해 2억 5400만 명에 비해 2050년에는 4억 8700만 명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미국 어바인 소재 캘리포니아 대학의 인구통계학자인 왕펑(Wang Feng)은 “중국은 1960년대 초 베이비붐을 겪었고, 그 결과 향후 10년 안에 2억 명 이상이 60세가 될 것”이며, “중국 지도부는 2021년부터 시작되는 차기 5개년 계획에서 연금 연령을 높이는 것 외에 다른 선택이 없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앞으로 5년 동안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 이 나이에 도달할 것”이라며 “만약 그들이 지금 행동하지 않는다면, 엄청난 재정적 부담을 줄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경제학자 차이팡(Cai Fang )은 지난 27일 정부 브리핑에서 “퇴직자 수를 노동인구에 비교하는 중국의 노인 의존도가 올해 약 17%에서 2035년까지 33% 가까이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에서는 일반인들의 반발로 2012년 연금 적격 연령을 늘리자는 기존 제안이 무산된 경험이 있다. 연금을 총괄하는 중국 인력자원사회보장부(人力资源和社会保障部, Ministry of Human Resources and Social Security)는 현재 5개년 계획기간인 2020년까지 정년을 올려달라는 권고안을 포함시켰지만 시행되지 않았다.

 

차이팡은 “이행을 위한 구체적인 제안서를 개발하는 책임을 질 예정이지만, 공산당 최고 지도자들은 은퇴 후 개혁을 승인해야 할 것”이라며, “관계자들은 변화를 일부 직업이나 지역에 우선 적용하는 등 국민 불만을 줄이기 위해 점진적으로 개혁을 추진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장대학교(浙江大学, Zhejiang University)의 연금경제학자 왕신메이(Wang Xinmei)는 채택될 수 있는 몇 가지 다른 선택사항을 인용했다.

 

“예를 들어, 우리는 더 많은 일을 하고 싶어 하는 유능한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더 많은 시간을 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몇 가지 쉬운 단계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 가지 제안은 나이를 매년 1년씩 늘리자는 것이 있는데, 이는 ‘너무 빠른 속도’라고 지적하고, “우리는 초기 단계에서 더 빠르게 증가하다가 후기 단계에서 천천히 증가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뉴스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유니세프
하단배너_06 코리아넷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수원시,배달라이더에게 이륜차 무상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수원시는 28일 경기아트센터 주차장에서 배달라이더를 대상으로 이륜차 무상 안전점검 서비스를 제공했다. 수원시가 이륜차 무상 안전점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수원시 노동정책과, 경기이동노동자 수윈쉼터가 주관하고 쿠팡이츠 서비스(주), 사단법인 한국오토바이정비협회가 주최한 이날 안전점검에서는 이륜차 100여 대를 점검
  2. 새로운 탄소흡수원 ‘이끼’ 연구 충남이 선도한다 충남도가 새로운 탄소흡수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끼’에 대한 연구 및 관련 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클러스터 조성에 나선다. 이끼클러스터 조성 기본구상 세미나 도는 28일 충남연구원에서 충남연구원, 국립생태원, 경기연구원, 건국대, 호서대, 공주대, 한국이끼산업경제협회, 이끼산업 추진 기업 관계자 등 20명이 참석한 가운
  3. 나주시, 2024년도 하반기 지역공동체 일자리 참여자 모집 전라남도 나주시는 근로 의사가 있는 취업 취약계층의 소득 창출을 위한 ‘2024년 하반기 지역 공동체 일자리 사업’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28일 밝혔다.  유아숲체험 보조원 모집 기간은 오는 6월 3일까지로 기한 내 신분증 및 관련 서류를 지참, 주민등록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로 방문·신청하면 된다.  서
  4. 환경교육도시 광명시, 시민과 함께 환경교육 한마당 연다 환경교육도시 광명시가 시민과 함께 환경 교육을 주제로 다채로운 행사를 개최한다. 환경교육도시 광명시, 시민과 함께 환경교육 한마당 연다시는 6월 1일부터 7일까지 ‘좋다! 배우고 즐기고 나눌 수 있어서’를 주제로 제3회 환경교육주간행사를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 환경교육주간은 매년 6월 5일 환경의날을 포함한 일주
  5. 충남교육청,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대비 교원 연수 실시 충남교육청은 5월 25일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앞두고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대비 교원 연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25일 아산 선문대학교에서 디지털교과서 도입 대비 교원 연수를 진행했다. 이번 연수는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수업 설계 방안을 공유하여 강사교원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연
  6. 대전교육청, 학교폭력 전담조사관제 운영 내실화 앞장 대전광역시교육청은 5월 31일 IBS(기초과학문화센터)에서 동‧서부교육지원청 학교폭력 제로센터 전담조사관 48명을 대상으로 2024학년도 상반기 학교폭력 전담조사관 역량 강화 연수를 운영했다고 밝혔다. 대전교육청, 학교폭력 전담조사관제 운영 내실화 앞장학교폭력 전담조사관 제도는 교원이 교육의 본질인 수업과 생활지도에 집중
  7. 최중증 발달장애인 24시간 돌봄 운영 충남도는 31일 도청에서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 24시간 개별 1:1 지원사업’ 서비스 제공기관 공모로 선정한 법인 2곳과 협약을 체결했다.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 제공기관 협약 최중증 발달장애인은 자해나 타해 등 도전적 행동을 수반하는 장애 정도가 극심한 발달장애인으로, 기존 복지서비스를 이용하...
TOP TODAY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