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미국, 약 400만개 일자리 영원히 사라져
  • 김학준 기자
  • 등록 2020-10-03 15:17:02

기사수정

영구 실업자로 분류된 미국인의 실업률은 4월의 11.1%에서 9월에는 35.6%로 증가했다. 거스 포처(Gus Faucher) 미국의 금융 기업 PNC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들 개인뿐만 아니라 경기 회복에 대한 언급도 매우 우려스럽다”고 말했다.(그래픽 : 경제타임스)

 

수 백만 개의 일자리가 영원히 사라지면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전염병이 미국 경제에 지속적인 타격을 주고 있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고 미 CNN방송이 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의 계절조정 수치에 따르면, 2020년 9월 영구실직자로 분류된 실업자 수는 34만5천명 증가, 7년 만에 최고치인 380만 명으로 증가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처음에 휴직이나 일시적인 실직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기업이 문을 닫고 비용을 절감함에 따라 영구적으로 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에서 유행병이 유행하기 직전인 지난 2월에 19년 만에 최저치로 침몰한 이후 실직이 3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며, 영구 실업자가 급증하는 것은 건강 위기로 인한 낙인효과(scarring effects)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증거다. ‘낙인효과’란 “기업의 경우, 시장에서 신뢰를 잃게 될 경우 기업이 추후에 어떤 발표를 해도 시장에서는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전 경제보좌관인 오스트란 굴스비(Austan Goolsbee)는 CNN 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불길한 징조(ominous sign)’라고 말했다. 미국인들이 해고될 때 노동부는 일부는 일시 해고로 분류한다. 

 

영구 실업자로 분류된 미국인의 실업률은 4월의 11.1%에서 9월에는 35.6%로 증가했다. 거스 포처(Gus Faucher) 미국의 금융 기업 PNC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들 개인뿐만 아니라 경기 회복에 대한 언급도 매우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다행인 것은 미국이 전염병 유행 기간 동안 잃어버린 일자리의 절반 이상을 빠르게 회복했다는 점이다. 

 

지난 9월 사업장이 늘어나고 건강대책이 해제됨에 따라 66만1000개의 일자리가 추가로 증가했다고 2일 미국 정부가 발표했다.

 

그러나 악재는 경기 초반 재개와 함께 이미 저공 행진 과실이 꼽히면서 고용시장 회복에 탄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신용평가 기관인 피치 레이팅스(Fitch Ratings)의 브라이언 콜턴(Brian Coulton)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8(현지시간) “미국의 노동시장 회복의 쉬운 부분은 이제 대부분 이미 이뤄졌다”고 말했다. 

 

그리고 지난 몇 주 동안 디즈니, 보험 대기업 올스테이트,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 등 주요 기업들이 각각 수천 건의 해고를 발표했다. 골드만삭스도 대유행 때 이전에 정리해고를 중단한 후 수백 개의 일자리를 줄이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10월 1일은 아마도 항공 역사상 최악의 정리해고일 것이다. 

 

연방 구제금융을 더 확보하지 못하자 아메리칸항공과 유나이티드항공은 총 3만 2000명의 감원 계획을 발표했다.

 

시마 샤(Seema Shah) 글로벌 인베스트터스(Global Investors) 수석 전략가는 2일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4분기에는 더 많은 기업들이 마침내 손을 내밀고, 폐쇄와 감원을 보고하기 시작할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경제적 흉터가 더욱 뚜렷해질 것 같다”고 내다 봤다. 

 

현재 시카고 대학 부스 경영대학(Chicago's Booth School of Business)의 교수인 굴스비(Goolsbee)는 “미국인들의 영구 실업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회복에 대한 골치 아픈 그림을 그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만약 우리가 3분의 2만 회복할 수 있는 길을 가고 있다면, 수백만 개의 사업장이 무너지고 그곳의 일자리가 영원히 사라지게 된다면, 우리는 이전과 같은 길로 되돌아가기 위해 몇 년이 걸릴 것”이라며, “그러한 영구적인 일자리 감소는 경제에 파급될 것이며, 실직한 사람들은 더 이상 돈을 쓰지 않을 수도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그들 실직자들은 자동차 할부금, 신용카드 할부금, 저당물 할부금에서 밀릴 위험에 처해 있다. 그러한 위험은 의회가 지금까지 추가적인 재정 부양책을 제공하지 못했다는 사실에 의해 확대되고 있으며, 미국 경제가 경기부양책을 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한 가닥 희망은 “현재 영구 실업자로 분류된 사람들이 결국 다른 곳에서 고용될 것”이라는 것이다. 일부 식당과 유통업체, 중소기업이 문을 닫았음에도 매일 새로운 기업들이 문을 열고 있다. 하지만 실업 기간이 재취직의 가능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시간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PNC의 포처는 “취업 시장에서 오래 벗어날수록 새로운 일자리를 찾기가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뉴스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유니세프
하단배너_06 코리아넷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GH, 키르기스스탄에 탄소중립 숲 조성한다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키르기스스탄에서 `탄소중립 숲 조성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키르기스스탄에서 `탄소중립 숲 조성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이번 사업은 GH가 창립 이후 처음으로 수행하는 국제개발협력사업으로, 경기도가 민간 위탁으로 2021년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해온 사업을...
  2. 서울시, 올해 수변활력거점 9곳 추가 조성…“하천, 시민 일상 속으로” 서울시가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변활력거점 9곳을 올해 안에 추가 조성해 총 17곳으로 확대한다고 2일 밝혔다. 하천을 지역 맞춤형 여가·문화 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이번 사업은 홍제천 ‘카페폭포’를 시작으로 꾸준히 확대 중이며, 시민의 일상 속 수변 공간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묵동천(...
  3. 군포시, `지구를 지키는 한잔` 청사 내 1회용컵 사용 줄이기 본격 추진 군포시가 환경 보호와 자원 절약을 위한 친환경 행정 실천의 일환으로 청사 내 1회용컵 사용 줄이기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군포시가 환경 보호와 자원 절약을 위한 친환경 행정 실천의 일환으로 청사 내 1회용컵 사용 줄이기에 본격적으로 나선다.시 청사 전 직원에게 텀블러와 머그컵을 배부하고, 자발적 참여와 지속 가능한 행정문화
  4. 인천 동구, 국내 유일 치매친화 영화관 `가치함께 시네마` 운영 인천 동구(구청장 김찬진)는 치매 환자와 가족, 지역주민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가치함께 시네마`를 4월 30일∼6월25일까지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에 운영한다고 밝혔다. 인천 동구(구청장 김찬진)는 치매 환자와 가족, 지역주민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가치함께 시네마`를 4월 30일 · 6월25일까지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에 운영한다고 밝
  5. 수원시, 5월 3일부터 화성행궁 야간개장 프로그램 `달빛화담` 운영 수원시가 화성행궁에서 5월 3일부터 야간관광 활성화 프로그램 `2025 화성행궁 야간개장 `달빛화담, 花談`을 운영한다. 수원시, 5월 3일부터 화성행궁 야간개장 프로그램 `달빛화담` 운영아름다운 화성행궁의 정취를 누릴 수 있는 프로그램과 관광객의 오감을 자극하는 다양한 전시·체험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화성행궁을 달빛...
  6. “서울이 통째로 테마파크” 황금연휴엔 ‘서울자유이용권’ 서울시가 5월 황금연휴를 맞아 시민 누구나 부담 없이 도심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서울자유이용권’ 콘셉트의 다채로운 문화·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서울시가 5월 황금연휴를 맞아 시민 누구나 부담 없이 도심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서울자유이용권` 콘셉트의 다채로운 문화 · 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했다.이번 연휴 ..
  7. 평택시, `e편한세상비전센터포레 아파트` 금연아파트로 지정 평택시(시장 정장선)는 시민들의 간접흡연 피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난 1일 `e편한세상비전센터포레 아파트`를 공동주택 금연구역으로 지정했다. 평택시, `e편한세상비전센터포레 아파트` 금연아파트로 지정공동주택 금연구역(금연아파트)은 `국민건강증진법`에 따라 입주자 대표 또는 공동주택 관리자
TOP TODAY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