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국가수사본부(본부장 박성주)가 최근 급증하는 보이스피싱 피해에 대응하기 위해 예방 홍보 영상 5편을 제작, 28일부터 경찰청 유튜브 채널과 TV·지하철 등 온오프라인 매체를 통해 본격 공개한다.
보이스피싱 예방 홍보 영상 `기관사칭편`(본부장 출연)
이번 영상에는 박성주 본부장이 직접 출연해 ‘누구나 보이스피싱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경찰은 영상 공개와 함께 영화관, 서울 지하철 주요 역사, 금융회사·통신사 등 협력 채널을 통해 한 달간 집중 송출하고, 전문기관을 통한 ‘보이스피싱 홍보 수용도’ 설문조사도 9월 중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1편 영상에서는 박 본부장이 취임식 도중 카드배송원·검사를 사칭한 전화를 받는 장면을 연출해 현실감을 높였다.
이어 공개되는 네 편은 ▵대출빙자 ▵악성 앱 통한 전화 가로채기 ▵피해자 감시 ▵소비쿠폰 사칭 수법 등을 재현, 단순 경고 수준을 넘어 범행의 치밀함과 위험성을 몰입감 있게 보여준다.
올해 홍보 캠페인 핵심 메시지는 “짜여진 각본의 주인공이 되지 마세요”다.
올해 7월까지 발생한 보이스피싱은 1만4,707건, 피해액 7,766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건수는 25.3%, 피해액은 98.7% 급증했다.
특히 검찰·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하는 기관사칭형 피해가 전체 피해액의 75%(5,867억 원)를 차지하며 건당 평균 피해액은 7,554만 원에 달했다.
30대 이하 청년층 피해자가 전체의 52%, 50대 이상은 43%를 차지해 세대 전반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보이스피싱 조직은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언급하며 신뢰를 쌓은 뒤, 조작된 사이트와 문서로 피해자가 실제 범죄에 연루된 것처럼 믿게 만든다.
이후 ‘반성문 작성’과 ‘정시보고’를 강요하며 심리적 지배를 강화하고, 피해자가 완전히 범인에게 의지할 때까지 돈 요구를 미룬다.
이러한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수단이 ‘악성 앱’으로, 설치 즉시 통화 가로채기·위치 추적·카메라·마이크 탈취까지 가능하다.
경찰청은 제도적·기술적 차단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국민 스스로 경각심을 높이도록 홍보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특히 숙박업소에 고립시키는 ‘셀프감금’ 수법을 막기 위해 예방 포스터 5만 부를 배포한 결과, 피해자가 스스로 인지해 1억 원 피해를 막거나 숙박업소 직원이 수상한 정황을 신고해 3,200만 원 피해를 예방한 사례가 보고됐다.
박성주 본부장은 “보이스피싱은 청년부터 중장년까지 누구나 당할 수 있는 사회적 재난”이라며 “국민의 소중한 재산을 지키기 위해 금융·통신권과 협력해 범죄 척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악성 앱은 지인 사칭 메시지 등을 통해 ‘나도 모르게’ 설치될 수 있다”며 국민 개개인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