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2019년부터 2020년까지 독도와 울릉도 연안 해역에 서식하는 대형 무척추동물인 해면동물의 조사현황을 다룬 생물도감 ’독도의 무척추동물 IV. 해면동물’을 발간했다고 21일 밝혔다.
독도와 울릉도 주요 해면동물 `독도디시디해면`, `울릉해변해면` (사진=국립생물자원관)
중세 유럽에서 목욕 스폰지로 활용되던 해면동물은 몸체의 구조적 특성 때문에 다양한 생물에게 서식지를 제공하며 우리나라에는 현재 400여종이 보고돼있다.
이번 생물도감에는 현장 조사에서 확인된 총 35종의 해면동물에 대한 명칭, 형태, 생태, 표본, 분포 등 주요 생물정보가 수록됐다.
또한 수중 생태사진, 표본 사진 뿐 아니라 해면동물의 종을 식별하는데 중요한 골편을 광학 및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 수록해 학술적 활용도를 높였다. 골편이란 해면동물의 몸체를 지탱하는 규질 또는 석회질 성분의 미세한 뼛조각을 말한다.
특히 독도디시디해면, 독도스미노해면, 울릉해변해면, 나팔해면류 등 총 13종류의 해면동물은 이번 조사를 통해 독도와 울릉도 주변 해역에서 신종 또는 고유종으로 발견돼 그 실체를 밝히기 위한 과학적인 심층 연구가 추진될 예정이다.
이로써 독도와 울릉도 주변 해역에 해면동물 28종이 추가돼 이 부근 해면동물은 총 58종으로 늘어났다.
‘독도의 무척추동물 IV. 해면동물’은 이달 말부터 국내외 주요 도서관, 연구기관, 관계 행정기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며, 그림파일(PDF) 형태로 국립생물자원관 홈페이지로도 공개된다.
배연재 국립생물자원관장은 “독도의 생물다양성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며, 이번 도감이 독도 주변의 해면동물에 대한 다양성을 이해하는 좋은 참고서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독도의 무척추동물 IV. 해면동물` 표지 (이미지=국립생물자원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