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금융위기 수준의 연체율 상승 속에 부실채권(NPL) 매각 규모는 연말까지 1조7천억 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고금리 장기화와 내수 부진, 미중 무역불확실성 등 복합 악재가 중소기업의 상환 능력을 압박하면서다.
■ 연체율 1.00%, 15년 만의 최고치
11월10일 금융권에 따르면 IBK기업은행은 올해 3분기까지 약 1조1천억 원의 부실채권을 매각했으며, 4분기에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2천500억 원, 경쟁입찰을 통해 최대 4천억 원어치를 추가로 매각할 예정이다. 연간 총액은 1조7천500억 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은행의 대출 연체율은 1.00%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1분기(1.02%) 이후 최고치다. 특히 기업대출만 보면 1.03%로 2010년 이후 15년 만의 기록이다. 이는 2분기(0.91%) 대비 0.09%포인트 상승한 수치이며,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0.53%)보다 두 배에 달한다.
■ 고금리·산업 부진 ‘이중 압박’
기업은행의 연체율 급등은 경기 둔화의 직격탄이다. 기업은행은 전체 대출의 90%가 중소기업 대상이라, 금리 상승과 제조업 위축의 영향을 가장 먼저 받는다.
건설·철강·석유화학 등 경기 민감도가 높은 산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이들 산업의 하청 및 협력 중소기업의 자금흐름이 막혔다. 여기에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고율 관세, 중국발 공급 과잉, 내수 둔화가 맞물리며 현금 유동성이 크게 악화됐다.
한국은행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외부감사 대상 기업 중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인 한계기업 비중은 17.1%로, 2010년 이후 최고치다. 중소기업만 놓고 보면 이 비중은 18.0%에 달한다. 즉, 5곳 중 1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 NPL 매각은 ‘임시 처방’… 근본은 회복력
은행권은 부실채권 매각을 통해 단기적인 건전성을 유지하려 하지만, 이는 구조적 해결책이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부실채권 매각은 일시적으로 지표를 개선하지만, 상환 능력이 회복되지 않으면 부실은 다시 쌓인다”며 “기업은행은 정책금융기관으로서 구조조정과 지원의 균형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당국 관계자 역시 “기업은행의 연체율 추이는 중소기업 경기의 바로미터”라며 “부실이 금융권 전반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산업별 리스크 관리와 취약업종 유동성 지원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