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정부, 12일~17일 고성·철원·창원 등 야생조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5건 확진 야생조류 폐사체, 분변 및 포획개체 시료 검사 결과, 6일간 H5N8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5건 확진 강원 59건, 경기 43건, 경남 25건, 경북 19건, 전남‧전북 각각 16건, 충남 13건, 충북 11건 순 김은미 2021-03-19 15:51:31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와 환경부는 야생조류 조류인플루엔자 예찰 과정에서 수거‧채취한 야생조류 폐사체, 분변 및 포획개체 시료를 검사한 결과, 지난 12일부터 17일까지 6일간 H5N8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5건이 확진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10월 첫 발생 이후 올해 3월 17일까지 누적 건수는 229건이며, 검사 대상별로는 폐사체 176건 77%, 분변 34건 15%, 포획 개체 19건 8% 순으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검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강원 59건, 경기 43건, 경남 25건, 경북 19건, 전남‧전북 각각 16건, 충남 13건, 충북 11건 순이다.

 

3월 2주 야생조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검출 건수는 전주와 같은 3건이며, 그 중 2건이 H5N8형 바이러스에 취약한 쇠기러기 등이 집중 서식 중인 철원·고성지역의 폐사체에서 발생했다.


지난 2월 야생조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검출 건수 한 주에 13.8건과 비교하면 3월 검출 건수는 3건으로 대폭 감소했다. 이는 야생조류들이 기온상승에 따라 북상을 시작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환경부는 지난 2월 말부터 겨울철새의 북상이 시작됐으나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오리과 조류가 여전히 머물고 있다면서 완전한 북상이 이뤄질 때까지는 철새도래지에 대한 예찰과 농장 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유입 방지를 위해 방역에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장성현 환경부 야생조류 AI 대응상황반 팀장은 “야생조류 폐사체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이 지속되는 상황으로 예찰을 통한 폐사체 조속히 수거 등의 조치를 시행 중이며, 상당수 철새가 국내 남아있는 만큼 경각심을 갖고 철새서식지 출입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기중 농식품부 조류인플루엔자방역과장은 “야생조류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항원이 지속 검출되고 있어 가금농장 추가 발생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가금농장은 외부 사람·차량의 출입을 최대한 금지하고, 축사 진입 전 장화 갈아신기, 생석회 벨트 구축, 전실 소독 등 차단방역에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야생조류 조류인플루엔자 국민대응수칙 (자료=환경부)

사회·교육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