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문 대통령 "특정 교회, 정부 방역 방침 거부하고 적반하장으로 음모설 주장" 한국교회총연합 회장 “대통령과 언론이 기독교의 특수성 이해했으면" 김은미 기자 2020-08-27 16:20:29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발언하고 있다. (사진=문재인 대통령 페이스북)문재인 대통령이 ‘특정’ 교회에 대해 "적어도 국민들에게 미안해하고 사과라도 해야 할 텐데 오히려 지금까지 적반하장으로 음모설을 주장하면서 큰소리를 치고, 여전히 정부 방역 조치를 거부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문 대통령은 27일 김태영 한국교회총연합 공동대표 회장을 비롯한 개신교회 지도자 16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가진 간담회에서 "특정 교회에서 정부의 방역 방침을 거부하고 방해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확진자가 1000명에 육박하고, 그 교회 교인들이 참가한 집회로 인한 확진자도 거의 300여명이다"라며 "세계 방역의 모범을 보이던 한국의 방역이 한순간에 위기를 맞고 있고 나라 전체가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민들의 삶도 무너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도저히 상식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일이 교회의 이름으로 일각에서 벌어지는 것으로, 극히 일부의 몰상식이 한국 교회 전체의 신망을 해치고 있다"면서 "8월부터 시작된 코로나 재확산의 절반이 교회에서 일어났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방역은 신앙의 영역이 아니고 과학과 의학의 영역이라는 것을 모든 종교가 받아들여야만 할 것"이라며 협조를 당부했다.

 

이에 김태영 한국교회총연합 대표회장은 “교회 예배자 중 감염자가 많이 나와 죄송하게 생각한다”면서도, “대통령과 언론이 기독교의 특수성을 이해했으면 한다. 피라미드 구조와 중앙집권적인 상하 구조가 아니다”고 반박했다.

 

그는 “교회는 정부 방역에 적극 협조하겠지만 교회 본질인 예배를 지키는 일도 포기할 수 없다”며 “코로나가 한두 주, 한두 달 정도로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볼 때 대책 없이 교회 문을 닫고 예배를 취소할 수 없다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전체 교회를 막는 현재의 방식은 오래가지 못한다. 정부도 이 방식은 부담될 것이고 교회도 결코 동의할 수 없다”면서 “국민 생활에서 종교의 역할을 잘 이해하고 계시는 대통령의 너그러운 판단을 바란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TAG

사회·교육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