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여름철 해파리로 인한 수산물 피해 막는다···부착유생 제거사업 추진 부착유생 제거작업 피해 예방에 가장 효과적···“계획 자칠없이 시행할 것” 정문수 기자 2020-04-21 09:39:53

해양수산부는 해파리 대량 출현이 해양생태계에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고 판단, 해파리 부착유생 제거사업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해양수산부는 여름철 해파리 대량 출현으로 인한 해양생태계 교란과 수산업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인천·경기·충남 권역에서 해파리 부착유생 제거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최근 바닷물 온도 상승과 연안개발 등으로 해파리의 대량 출현이 빈번해지고 있다. 특히 어획물과 혼획되는 해파리는 수산물의 상품가치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어구도 손상시켜 어업인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힌다.

해파리는 번식력도 매우 강해 부착유생 1개체가 자가분열을 통해 성체 5000마리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유생 단계에서의 제거작업은 해파리 피해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꼽힌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해양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보름달물해파리를 유해해양생물로 지정하고 2018년에 해파리 부착유생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한 ‘해파리 부착유생 관리 중장기 계획’을 수립했다.

이 중장기 계획에 따라, 올해는 인천항 관공선부두, 경기 제부도, 탄도항, 충남 삼길포, 대산항에서 해파리 부착유생을 집중적으로 탐색하고 제거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서해권역의 해파리 출현을 대폭 감소시켜 해양생태계의 피해를 줄이고 해파리가 해류를 따라 남·동해 권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재영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장은 “해파리 부착유생 관리 중장기 계획을 차질 없이 시행해 선제적인 해파리 대응체계를 확립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도 해파리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건강한 해양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방안들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사회·교육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