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산자부, 기술혁신 전문펀드 조성···총 5000억 규모 최초로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에 중점 투자 김석규 기자 2020-03-11 14:39:38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기업은행, 신한은행 등과 중소·중견기업의 R&D 활동에 투자하는 ‘기술혁신 전문펀드 조성 및 운용협약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식’을 가졌다.  (사진=경제타임스 자료사진)

[경제타임스=김석규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기업은행, 신한은행 등과 중소·중견기업의 R&D 활동에 투자하는 ‘기술혁신 전문펀드 조성 및 운용협약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식’을 열고 전문펀드 조성을 위한 협력을 다졌다.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열린 이날 체결식에서 성윤모 산자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 등으로 기술혁신이 급속도로 빨라지는 상황에서 정부의 직접적인 R&D 지원 외에도,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해 기업의 다양한 기술혁신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이번 기술혁신 펀드를 통해 시장의 R&D 투자와 정부 R&D 지원사업의 투자 대상과 성과 등을 비교해, 추후 정부 R&D 지원방식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기술혁신펀드에 2800억원을 투자한 기업은행장과 신한은행장은 “새로운 R&D 방식으로 기업의 혁신성장에 투자하는 이번 펀드에 참여할 수 있게 되어 뜻 깊게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이들은 “기술혁신 펀드는 민간 금융투자와 기업의 기술혁신이 융합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으며 이번 펀드 조성을 계기로 금융권이 보다 많은 기업의 기술개발에 투자해, 우리나라가 기술강국이 되는데 금융권이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기술혁신전문펀드’는 산업부의 R&D 자금을 예치·관리하기 위해 ‘산업기술자금 전담은행’으로 선정된 기업은행과 신한은행이 총 2800억원 규모를 출자해 母펀드를 조성하고 한국성장금융이 母펀드를 운용하며 민간 투자자의 출자를 더해 총 5,000억원 규모의 子펀드를 결성해 중소·중견기업의 기술혁신활동에 투자하는 방식이다.


‘기술혁신전문펀드’는 세 가지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우선 그동안 정부의 R&D 지원이 정부·공공기관 주도로 혁신기업을 선정하고 출연 방식으로 지원했으나, 이번 펀드는 시장이 혁신기업을 발굴하고 투자방식으로 R&D를 지원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기존의 정책펀드들과의 차이점은 그간의 기업 투자펀드가 대부분 기업의 사업화 활동, 또는 투자금의 사용처를 특정하지 않는 기업활동 전반에 사용되도록 한 반면, 이번 펀드는 최초로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에 중점적으로 투자되도록 운용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출자 재원 측면에는 기존의 정부 주도의 펀드들과 다르게 정부의 재정투입 없이 시중은행 투자를 기본으로 ‘순수 민간 재원으로만 조성됐다.


올해부터 향후 3년간 매년 기업은행과 신한은행이 900~1000억원 규모의 母펀드 자금을 출자하고 이를 토대로 子펀드 운용사는 민간자금을 매칭해 매년 약 1600~1800억 규모의 기술혁신펀드를 결성하며 각 펀드는 8년간 운용 후 청산할 예정이다.



사회·교육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