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9월 3일 ‘2025년 자기주도 학습센터 공모 결과’를 발표하며 전국 14개 시도에서 총 50개 센터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2025년 자기주도 학습센터 선정 결과
이번 사업은 중‧고등학생들이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취지로 올해 처음 도입됐다.
자기주도 학습센터는 개별 열람실, 모둠 학습공간, 휴게실 등으로 구성된 학습 환경을 제공하며, 학습 코디네이터가 배치돼 EBS 교재와 강의, AI 기반 학습추천 서비스 등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학습 관리가 이뤄진다.
또 대학생이 참여하는 화상 지도(튜터링)를 통해 영어와 수학 등 주요 과목에 대한 질의응답과 학습 상담도 받을 수 있다.
이번 공모에는 총 77개 센터가 지원했으며, 심사를 거쳐 50개 센터가 최종 선정됐다. 학교 안에 설치되는 센터 25곳은 재학생과 인근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되며, 학교 밖 센터 25곳은 지역 중‧고생을 대상으로 선발된 희망자가 이용할 수 있다.
교육부는 이들 센터를 오는 12월부터 순차적으로 개소할 계획이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김포과학기술고, 포천 에듀케어 플랫폼 등 13곳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6곳, 경북이 6곳으로 뒤를 이었다. 전북은 5곳, 충남과 전남은 각 3곳이 선정됐다.
대구, 강원, 충북, 제주 등은 1곳씩 포함됐다. 이번에 선정된 센터에는 학교복합시설이나 도서관, 청소년센터 등 다양한 형태의 공간이 활용된다.
김천홍 교육부 책임교육정책관은 “자기주도 학습센터를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을 키우고, 지역 간 학습격차를 완화하는 우수 모델을 만들겠다”며 “앞으로 더 많은 지역과 학교로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