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26일 낙동강권역 신규댐 후보지 4곳과 세계문화유산 반구대암각화 현장을 방문해 현장 점검과 지역 의견 청취에 나섰다. 이번 일정은 신규댐 건설의 필요성과 지역 수용성을 종합적으로 재검토하기 위한 차원이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26일 울산광역시 울주군 소재 세계문화유산인 반구대 암각화를 찾아 반복적 침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연댐 수문 설치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방문 대상지는 경북 예천군 용두천댐 후보지(홍수조절), 경북 김천시 감천댐 후보지(홍수조절), 경북 청도군 운문천댐 후보지(용수 전용), 울산 울주군 회야강댐 후보지(홍수조절) 등 4곳이다. 김 장관은 지자체, 시민단체, 주민 등 이해관계자들과 만나 댐 건설에 따른 홍수·가뭄 예방 효과와 지역 의견을 직접 확인한다.
김 장관은 앞서 인사청문회에서 “신규댐의 필요성을 현장에서 정밀하게 살피고, 지역과 소통하며 합리적인 추진 방향을 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일정도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신규댐 후보지 14곳 가운데 찬반 논란이 있는 지역을 우선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김 장관은 울산 울주군의 반구대암각화를 찾아 보존 방안을 논의했다. 반구대암각화는 지난 7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으나, 집중호우로 물에 잠겨 보존 대책의 시급성이 제기됐다. 환경부는 당시 사연댐 방류량을 평소보다 두 배 이상 늘리는 응급 조치를 취했으며, 장기적으로는 사연댐에 수문을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환경부는 한국수자원공사와 협력해 수문 설치 일정을 최대한 앞당겨 추진하고, 문화유산 보존과 지역 물 문제 해결을 병행하겠다는 방침이다. 김성환 장관은 “반구대암각화 보존은 울산·대구 등 지역 간 협력과 낙동강 수계 전반의 물 문제 해결이 함께 이뤄져야 가능하다”며 “지역과 상생하며 국가적 자산을 지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