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계
-
서울시, 창업기업·중소기업 인도 진출 돕는다
서울시가 우수 창업기업과 중소기업 15개사를 선정해 외국인 투자 유치를 지원한다.특히 서울시는 '신남방정책'으로 한국과의 교역이 확대되고 있는 인도의 수도인 뉴델리에서 9월 현지 투자설명회를 개최해 인도 투자가와 참가기업 간 1:1 비즈니스 미팅을 지원할 예정이다.서울시는 그 간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갖고 있는 서울의 창업...
-
민관합동으로 도시 취약지역 지원한다
국토교통부는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공동으로 ‘2019년 민관협력형 도시 취약지역 지원사업’을 추진한다.7월중으로 민관협력사업 참여기관과 전문가의 서면평가를 통해 최종 지원 대상지역이 결정되고, 8월부터는 지역별로 사업이 시행될 예정이다. 올해 민관협력사업은 물리적 지원을 위한 노후주택 개선사업뿐만 아니라, 정서적 ...
-
카카오톡 통해 지원사업 빠르게 검색한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지원사업을 카카오톡 챗봇을 통해 확인해주는 서비스를 개시한다.중소벤처기업부가 운영하는 중소기업 지원사업 포털 기업마당은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등 다양한 기관에서 시행중인 분야별 최신 중소기업 지원사업 정보를 한 곳에 모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적시에 제공하고 있다.이러한 지원정보를 ...
-
보이스피싱 사기 피해액 6천억원 규모...금소원, 정부 차원 대책 마련 요구
금융소비자원이 보이스피싱 피해금액이 눈덩이 불어나듯 커지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현재 보이스피싱 피해금액은 6천억원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부의 대책은 과거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지적이다. 금융소비자원은 지금이라도 전 정부 차원의 새로운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면서 전방...
-
식약처, 의료기기 수출 지원 나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산 의료기기 수출 지원에 나섰다.식약처는 오는 17일부터 18일까지 양일간 ‘2019년 제1차 해외 의료기기 GMP 인증 과정‘ 교육을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서 실시한다.주요 내용은 유럽 의료기기 규정 ,최신 의료기기 품질관리 국제기준에 따른 심사 사례 분석, 제조업체 심사 대응 전략, 국내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
-
산업부, ‘5대 유망소비재’ 적극 육성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가 화장품 등 수출 성장세를 시현하고 있는 5대 유망 소비재를 새로운 수출성장동력으로 적극 육성하기로 했다. 12일 제17차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기재부, 산업부, 복지부, 중기부 등 관계부처는 합동으로 마련한 ‘소비재 수출 활성화 방안’을 확정했다. 관계부처는 5대 유망 소비재에 수출 마케팅을 지원...
-
문대통령, 한-핀 대학생 해커톤에서 미션 제안..."친환경 미래도시 만들어라"
중소벤처기업부가 11일 한국과 핀란드의 양국 대학생 60여명이 참여하는 ‘한-핀 공동 해커톤’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개회를 공식 선언하고, 양국 대학생들이 해결해야 할 미션을 직접 제시했다. 문 대통령이 제시한 미션은 '친환경 미래형 도시' 구축 아이디어다. 이번 대회는 양국 민간 해커톤 전문기관인 N15과...
-
중기부, 핀란드·스웨덴과 스타트업 지원 협력
중소벤처기업부는 10일 문재인 대통령의 북유럽 3국 순방을 계기로 핀란드 고용경제부와 코리아스타트업센터(KSC) 설치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 다가오는 15일에는 스웨덴 기업혁신부와도 같은 내용의 MOU를 체결할 예정이다.정부의 북유럽 KSC 설치 확대는 해외 K-스타트업 진출 거점을 북유럽에 마련하겠다는 것으로 국내 스타트업과 벤처캐피...
-
중기부, 제로페이 사용자에 추첨 통해 뉴욕 여행권 '쏜다'
중소벤처기업부가 모바일 직불결제 사용 활성화를 위해 제로페이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여행권 지급 이벤트를 진행한다.중기부는 소비자들이 제로페이의 결제 활성화를 위한 계기를 마련 하고자 분기별로 이벤트를 기획하고 있으며, 이번 이벤트는 그 중 두 번째이다. 지난 4월에 진행된 첫 번째 이벤트를 통해 총 9명이 KCON 2019 JAPAN 관람을 ...
-
외교부, 블록체인 기술 이용해 금융위임장 검증한다
외교부가 재외공관이 공증한 '금융위임장'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전격 도입했다.외교부는 7일부터 공증여부 확인 서비스를 개시할 방침이다. 금융결제원과 민관 협업을 통해 마련된 이번 서비스는 ‘정부혁신 핵심사업’의 일환으로, 재외공관에서 공증 받은 금융위임장의 진위여부를 빠르고 쉽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