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
“어업·어촌의 새로운 발전 이뤄 낼 것”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도내 어업인들과 함께 어업·어촌의 새로운 발전을 이뤄내겠다는 뜻을 밝혔다. 16일 충남도서관 대강당에서 김 지사를 비롯해 장진원 도 해양수산국장, 어촌계장, 어업인 단체장, 수협 및 관계 공무원 등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4 어촌 지도자협의회`를 개최했다.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16일 충남도서관...
-
인천문화예술회관 유휴(遊休)공간에서 신나게 놀고(遊) 쉴(休) 수 있는 4색 무대
따스한 봄날을 맞아 인천문화예술회관의 유휴공간이 탈바꿈한다. ‘쓰지 아니하고 놀리는’이라는 뜻의 유휴(遊休) 공간이 공연 예술로 인해 ‘신나게 놀고(遊) 쉴(休) 수 있는’ 장소로 변신하는 것이다. 복합문화공간과 야외광장 등지에서 연령과 장르를 넘나드는 4색(色) 무대가 시민들을 기다린다. 따스한 봄날을 맞아 인...
-
세종시장애인체육회 유도 선수단, 세계 제패
세종특별자치시장애인체육회 유도 선수단이 ‘2024 세계농아인유도선수권대회’에서 금 1개, 은 4개, 동 2개의 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거뒀다. 정중앙 이현아 선수시 장애인체육회 소속 유도 선수단은 지난 10일부터 15일까지 카자흐스탄 투르키스탄에서 개최된 2024 세계농아인유도선수권에서 메달을 대거 획득하며 세종시의 위상
-
대전 제2수목원 이름을 지어주세요
대전시는 보문산 권역 호동 일원에 새롭게 들어서는 대전 제2수목원의 명칭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대전 제2 수목원 확대투시컷이번 공모는 제2수목원의 정체성과 상징성을 확보하고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대중적·창의적 명칭을 선정하기 위해 마련됐다. 응모 기간은 4월 17일부터 5월 7일까지이며 지역과 연령제한 없이 1인당 1
-
인천지역 경제교육센터 신규 지정 … 취약계층에 맞춤형 경제교육
인천시가 취약, 소외계층을 위한 맞춤형 경제교육을 실시한다. 취약, 소외계층을 위한 맞춤형 경제교육 홍보 리플렛인천광역시는 시민의 경제 지식 습득과 올바른 경제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인천지역 경제교육센터에서 2024년도 맞춤형 경제교육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수도권 지역으로 통합 운영되던 지역경제 교육센터*가 20...
-
충남교육청, 2024년 제1회 취업지원협의회 개최
충남교육청은 직업계고 취업률 향상을 위해 교육청-지자체-유관기관 전문가로 이루어진 취업지원협의회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 15일 도교육청에서 2024년 제1회 충청남도교육청 취업지원협의회가 진행되었다.취업지원센터 설치 운영 조례를 근거로 구성된 취업지원협의회는 ▲단위학교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지원 ▲산업체, 유관기관
-
‘부남호 역간척’ 국가 사업으로 띄운다
충남도가 펼쳐온 ‘연안 담수호 생태 복원’ 사업이 마침내 국가 차원에서 추진된다. 연안 담수호 생태복원 타장성 조사 대응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민선8기 힘쎈충남의 국가 사업화 요청을 수용하며, 정부가 연내 타당성 조사와 함께 우선 추진 사업 대상 선정에 나선다. 이에 따라 도는 부남호 등에 대한 국가 사업 대상 반영
-
데이터 기반 창업 이끌 아이디어·제품 찾는다
세종특별자치시가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창업 아이디어와 제품, 서비스를 발굴하기 위해 ‘2024 세종시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대회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아이디어 기획’ 부문과 신규 사업 모델을 제시하는 ‘제품 및 서비스 개발’ 부문 등 2개 부문으로 나눠 열
-
아산시 행복키움, `저장강박 의심가구 지원사업` 7개 기관 업무협약식 추진
아산시는 15일, 시청 상황실에서 7개의 기관과 ‘저장강박 의심가구 지원사업’을 위한 협약식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 단체사진이번 협약은 사회복지과, 자원순환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행복키움추진단협의회, 코리아에코21, 홈앤정리수납, 자원봉사센터가 참여했다. ‘못 버리는 저장강박’이란 어떤 물건이든
-
대전서부교육지원청, 설계의 안전성 검토 교육 실시
대전서부교육지원청은 서부교육지원청 회의실에서 시설지원과 공사감독 주무관들을 대상으로 `설계의 안전성 검토제도`에 대한 교육을 실시했다고 16일 밝혔다. 대전서부교육지원청, 설계의 안전성 검토 교육 실시설계 안전성 검토란 설계단계에서 건설 안전을 고려한 설계가 될 수 있도록 시공 중 위험요소를 사전에 발굴하여 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