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교육
-
인천시, 오는 13일 인천대공원에 인천하늘수가 찾아갑니다
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인천의 수돗물 인천하늘수의 안전성과 품질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오는 13일 인천대공원 문화마당에서 홍보캠페인 `인천하늘수 시민안전문화 페스티벌`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인천의 수돗물 인천하늘수의 안전성과 품질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오는 13일 인천대공원 문화마
-
한국가스공사, 천연가스 생산시설 종합개선 워크숍 개최
한국가스공사(사장 최연혜)는 지난 4월 4일부터 5일까지 양일간 대구 본사에서 천연가스 생산시설 안정성 확보를 위한 `2024 LNG 생산기지 종합개선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한국가스공사(사장 최연혜)는 지난 4월 4일부터 5일까지 양일간 대구 본사에서 천연가스 생산시설 안정성 확보를 위한 `2024 LNG 생산기지 종합개선 워크숍...
-
창녕군 우포따오기, 올해 첫 부화 성공
창녕군(군수 성낙인)은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인 우포따오기가 지난 10일, 첫 부화를 했다고 밝혔다. 창녕군은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인 우포따오기가 지난 10일, 첫 부화를 했다고 밝혔다.올해 처음으로 부화한 새끼따오기는 14년생 수컷과 17년생 암컷 번식 쌍이 지난달 14일 우포따오기복원센터 번식케이
-
수출입은행, 대한적십자사 의료원에 4억 원 후원…의료취약계층 지원
한국수출입은행(수은)은 12일 취약계층의 의료지원을 위해 대한적십자사 의료원에 4억원을 후원했다고 밝혔다. 한국수출입은행은 12일 취약계층의 의료지원을 위해 대한적십자사 의료원에 4억원을 후원했다고 밝혔다.수은의 이번 지원으로 서울 등 전국 7개 적십자사 의료원에서 장애인, 노인, 외국인 근로자 등 약 2000명 이상의 의료 취
-
대구시교육청, 학교로 찾아가는 `바른 디지털 매체 활용` 교육
대구시교육청(교육감 강은희)은 학생들이 디지털 매체를 바르게 활용하고, 정보화 기기 사용 조절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학교로 찾아가는 `바른 디지털 매체 활용` 교육`을 4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한다고 12일(금) 밝혔다. 대구시교육청(교육감 강은희)은 학생들이 디지털 매체를 바르게 활용하고, 정보화 기기 사용
-
인천시교육청, 인천디지털교육지원단 워크숍 개최
인천광역시교육청(교육감 도성훈)은 지난 11일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 대회의실에서 초·중·고교 관리자 8명과 초·중·고·특수교사 50명 등 인천디지털교육지원단을 대상으로 워크숍을 개최했다. 인천광역시교육청(교육감 도성훈)은 지난 11일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 대회의실에서 초 · 중 · 고교 관리자 8명과 초
-
익산, 교육도시 명성 되찾는다…명문 만들기 지원 `팍팍`
익산시가 `명품 교육도시` 위상을 되찾을 전폭적인 지원에 나선다. 익산시는 내년 전북과학고등학교와 익산고등학교의 정원을 대폭 확대해 더 많은 지역 인재에게 양질의 교육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12일 밝혔다. 익산시는 내년 전북과학고등학교와 익산고등학교의 정원을 대폭 확대해 더 많은 지역 인재에게 양질의 교육 기회를 제공
-
창원시, `2024년 동네상권발전소` 공모사업 선정
창원특례시는 지난 11일 의창구 소리단길이 중소벤처기업부 2024 동네상권발전소 지원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창원시, `2024년 동네상권발전소` 공모사업 선정동네상권발전소 지원사업은 지역의 자연환경, 문화적 자산을 소재로 새로운 사업적 가치를 창출하는 창업가인 로컬크리에이터가 상인, 주민과 협력해 지역 상권...
-
천안시, ‘지방세·세외수입 체납정보’ 카카오 알림톡으로
천안시는 지방세·세외수입 체납 정보를 종이고지서 대신 모바일 전자고지로 안내하는 ‘카카오톡 알림톡’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12일 밝혔다. 지방세 · 세외수입 체납 정보 모바일 전자고지 `카카오톡 알림톡`카카오 알림톡은 납세자가 별도로 신청하지 않아도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에 체납정보를 발송하는 서비스로 쉽게 ...
-
산업재해 제로! 안전 파수꾼이 간다
대전시는 12일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안전보건지킴이’ 20명을 위촉했다고 밝혔다. 위촉식 사진 안전보건지킴이는 민간 사업장의 산업재해 예방과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올해는 중대재해처벌법의 적용 범위가 상시근로자 5인 이상 사업 또는 사업장으로 확대되면서 그 중요성과 역할이 점점 커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