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
국세청, 집중호우 피해 납세자에 법인세 등 납부기한 연장
국세청이 서울, 경기, 강원 지역에 집중된 ‘물폭탄’으로 인해 피해를 본 납세자에 대해 세금 납부 기한 연장과 세무조사 연기 등 세정지원을 한다. 국세청은 10일 집중호우 피해로 어려움을 겪는 납세자가 종합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등의 신고·납부 기한 연장을 신청하면 최대 9개월까지 연장을 허용한다고 밝혔다. ...
-
수도권 `물폭탄`에 침수 차량 속출
수도권 등 중부 지방에 ‘물폭탄’ 쏟아지면서 ‘물난리’가 곳곳에서 나고 있다. 지난 8일 오후부터 시간당 최대 100㎜ 이상의 집중호우로 인해 차량이 침수되는 피해가 늘고 있다. 차량 침수의 경우 우선 자동차 보험의 자기차량손해담보에 가입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자기차량손해담보에 가입했다면 주차 중 침수나 홍수
-
올해 물가 5%대 가능성 커져...1~7월 물가 4.9% 올라
물가오름세가 우리 경제의 아킬레스건이 되고 있다. ‘장바구니 물가’ ‘밥상 물가’가 급격하게 오르면서 서민경제의 주름을 더욱 깊게 하고 있다. 근로자들은 오르는 물가에 생활비 씀씀이가 커지자 임금을 올려달라고 아우성이다. 올해 1~7월 물가가 4.9% 오르면서 연간 물가 상승률이 5%를 넘을 가능성이 커졌다. 연간 물...
-
예비 청약자, 금리 인상으로 인한 이자 부담이 제일 걱정
분양시장을 둘러싼 내, 외부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자재비 인상이 분양가에 적기 반영되는 분양가상한제 개선 방안이 7월 15일 적용됐다. 기준금리는 7월에 2.25%로 인상된 가운데 치솟는 물가 상승 영향으로 추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높다. 이런 시장 상황 속에서 2022년 하반기 청약을 준비하는 수요자들의 의견을 듣고자 설문조사를 진
-
오르는 물가에 깊어지는 민생고... 정부 고민 커져
물가가 유례없이 고공행진을 하면서 민생고가 깊어지는 가운데 민족대명절 추석을 한 달여 앞두고 있어 물가오름세가 어느 선에 이를지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국정지지도가 급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물가고에 민심 이반이 확대되자 부랴부랴 대책을 내놓고 있다. 우선 정부는 관세율을 한시적으로 낮추는 할
-
중기부, 소상공인을 위한 전자도서관 최초 개관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8월 3일, 소상공인 역량 강화를 위해 전자도서관을 개관해 전자책 5.8만여 권에 대한 무료 대여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는 8월 3일, 소상공인 역량 강화를 위해 전자도서관을 개관해 전자책 5.8만여 권에 대한 무료 대여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중기부는 그동안 창업-성장-재기로
-
우리경제의 ‘뇌관’... 심상치 않은 물가상승률
물가상승이 심상치 않다. 5만원권 한 장으로 장 보러 가면 살 게 없다. 경기가 삭아가고 있는 시기에 금리는 오르고, 물가는 가파르게 올라 서민들의 주름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3%를 찍었다. IMF 외환위기 때인 지난 1998년 11월 이후 가장 높다. 6월(6.0%)에 이어 2달 연속 물가상승률이 6%대를 기록한 셈이다. 물...
-
대한상의, ‘국가발전 프로젝트 시즌2’ 진행
대한상공회의소는 우리 사회가 직면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할 민간 차원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고안된 ‘국가발전 프로젝트’ 시즌2 주제로 `한식의 산업화`를 선정했다. 2일 대한상의는 시즌2 주제로 한식의 산업화를 선정한 이유에 대해 “민간 차원에서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성장 잠재력이 높은 분야이기 때문”이
-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될 가능성 커져
무심코 휴일에 대형마트에 들렀다가 ‘휴업’이라는 팻말을 보고 발길을 돌린 적이 있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이렇게 한 달에 두 번씩, 의무적으로 문을 닫아야 하는 ‘대형마트 의무휴업’이 10년 만에 논란의 수면위로 떠올랐다. 일단 ‘대형마트 의무휴업’이 폐지될 가능성이 커졌다. 윤석열 정부가 앞장서 규제 개혁...
-
지난달도 무역적자 기록하면서 4개월 연속 적자 행진
우리나라 대외교역 환경이 악화일로로 달리면서 무역수지 적자폭이 확대되고 있다. 7월 무역수지가 46억7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하며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4년만에 처음으로 4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7월 수출은 전년 보다 9.4% 증가한 607억달러, 수입은 21.8% 늘어난 653억7000만...